맨위로가기

그리스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의 총리는 그리스 대통령이 임명하며, 헬레닉 의회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한 정당의 대표가 임명되는 것이 원칙이다. 만약 과반수 정당이 없을 경우, 대통령은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정부 구성을 위해 정당 대표에게 탐색적 권한을 부여한다. 총리는 취임 전 종교적 선서를 하거나, 무신론자의 경우 시민 선언을 통해 취임하며, 총리의 공식 관저는 막시무스 관저이다. 그리스는 독립 전쟁 시기부터 현재까지 여러 총리가 존재해왔으며, 입헌 군주제, 격변기, 제2차 세계 대전, 내전, 군사 정권 등을 거치며 다양한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정치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그리스의 정치 -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는 오스만 제국령 마케도니아 출신의 그리스 정치인으로, 총리와 대통령을 역임하며 그리스의 민주주의 회복과 유럽 연합 가입에 기여했다.
  • 그리스의 총리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그리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는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을 창당하여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복지 확대, 독립 외교를 추구했으나, 경제난과 부패 스캔들로 비판받기도 하며 그리스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의 총리 -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는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에 참전하여 공산주의 세력을 격퇴하고 총리를 역임하며 그리스 경제 부흥에 기여하다가 사망했다.
그리스의 총리
기본 정보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총리
직책정부수반
소속 정부그리스 정부
거주지막시모스 저택
임명권자대통령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임기4년, 갱신 가능
연봉99,420 유로
웹사이트총리실
역할 및 권한
소속내각
정부 외교 및 국방 협의회
의회
유럽 이사회
보고 대상의회
대통령
현직
현직 총리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취임일2023년 6월 26일
부총리부총리
직위 서열국가 원수 다음가는 국가 기관
역사
직위 개설일1822년 1월 13일
초대 총리스피리돈 트리쿠피스
호칭
공식/외교적 호칭각하
비공식 호칭총리님

2. 총리의 선출 및 임명

그리스의 총리는 공식적으로 그리스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다.

그리스 헌법 제37조에 따르면, 헬레닉 공화국 대통령은 의회에서 절대 다수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를 총리로 임명한다. 어떤 정당도 절대 다수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대통령은 상대 다수(과반수)를 얻은 정당의 대표에게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정부 구성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권한을 부여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대통령은 의회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의 대표에게 탐색적 권한을 부여하고, 이것이 실패하면 세 번째로 큰 정당의 대표에게 탐색적 권한을 부여한다. 각 탐색적 권한은 3일간 유효하다.

모든 탐색적 권한이 실패하면 대통령은 모든 정당 대표를 소집하고,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내각을 구성할 수 없는 것이 확인되면, 대통령은 의회 선거를 치르기 위해 의회 내 모든 정당으로 구성된 내각을 구성하려고 시도한다. 이것이 실패하면 대통령은 최고 행정 법원 또는 최고 민사 및 형사 법원 또는 감사원의 원장에게 대통령이 의회를 해산한 후 선거를 치르기 위해 가능한 한 폭넓게 수용될 수 있는 내각을 구성하도록 위임한다.

따라서 특정 정당의 의원을 의회에 선출하는 것은 그 정당의 대표를 총리로 투표하는 것과 같다.[4]

2. 1. 종교적 선서

취임 전, 총리는 대통령궁 내에서 종교 의식을 통해 선서한다. 총리의 선서는 그리스 정교회의 수장인 아테네 대주교가 집행한다. 대주교는 몇 가지 기도와 주여 자비를 베푸소서(Kyrie Eleison)를 먼저 올린 후, 취임 예정 총리는 자신과 대주교 사이에 놓인 테이블 위, 두 개의 켜진 촛불 사이에 놓인 성경 위에 손을 얹는다. 대주교의 선서 이후, 취임 예정 총리는 다음과 같은 선서를 한다.
나는 거룩하고, 동일체이며, 분리될 수 없는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헌법과 법률을 수호하고 그리스 국민의 일반적인 이익을 위해 봉사할 것을 맹세합니다.그 후 대주교는 몇 가지 축복을 더 하고 참석자들은 십자가 표시를 세 번 한다. 대주교는 새 총리를 축하하고, 관련 서류에 서명하기 전에 총리는 대통령과 악수한다.

2. 2. 시민 선서

알렉시스 치프라스는 2015년 스스로 무신론자임을 밝히고, 종교적인 선서 대신 세속적인 선언을 선택한 최초의 그리스 총리가 되었다.[5] 그는 카롤로스 파풀리아스 대통령 앞에서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5]

"대통령님, 저는 제 명예와 양심을 걸고 헌법과 법률을 준수하고 항상 그리스 국민의 일반적인 이익을 위해 봉사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선서 후, 치프라스는 대통령과 악수를 나누고 축하를 받았으며, 공식 문서에 서명했다.

2015년 9월 21일, 치프라스가 다시 총리직을 맡았을 때 프로코피스 파블로풀로스 대통령은 선언을 좀 더 공식적인 형태로 변경했다.

"저는 제 명예와 양심을 걸고 헌법과 법률을 준수하고 그리스 국민의 일반적인 이익을 위해 봉사할 것을 선언합니다."

3. 총리의 관저

막시무스 관저(그리스어: Μέγαρο Μαξίμου)는 1982년부터 그리스의 총리의 공식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 아테네 중심부, 신타그마 광장 근처에 위치해 있다. 건물 내에 그리스 정부 수반의 사무실이 있지만, 총리의 관저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4. 그리스 총리 목록

4. 1. 그리스 독립 전쟁 (1821-1832)

그리스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는 그리스 여러 지역은 펠로폰네소스 상원과 같은 자치를 위한 민주적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한편, 에피다우루스 최초 국민의회와 같은 일련의 상위 그리스 국민의회가 수시로 소집되어 전반적인 조정을 담당했다.[6] 최초 의회는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가 이끄는 5명의 집행 위원회를 선출했다.[6]

집행부는 1828년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가 "그리스 총독"으로서 국가 통치를 맡을 때까지 그리스를 계속 통치했다. 그는 국가 원수이자 동시에 정부 수반이었다.[6] 카포디스트리아스는 1831년 암살당했고, 그의 동생 아우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가 이끄는 그의 정부는 다음 해에 붕괴되었다. 그 후 1833년 그리스가 군주국이 될 때까지 일련의 집단 정부 위원회가 이를 대체했다.

4. 2. 오토 국왕의 절대 군주정 (1832-1843)

1832년 그리스 왕국이 수립되면서 바이에른 왕자 오토가 국왕으로 즉위했다.[7] 초기에는 바이에른인으로 구성된 섭정 평의회가 통치했으며, 섭정 평의회 의장인 요제프 루트비히 폰 아르만스페르크 백작이 사실상 정부 수반 역할을 했다.[7]

순서총리 이름재임 기간비고
4루트비히 폰 아르만스베르크
Κόμης Ιωσήφ Λουδοβίκος Άρμανσμπεργκel
Josef Ludwig von Armansperg영어
85px1835년 6월 1일
- 1837년 2월 14일
5이그나츠 폰 루트하르트
Κόμης Ιωσήφ Λουδοβίκος Άρμανσμπεργκel
Josef Ludwig von Armansperg영어
85px1837년 2월 14일
- 1837년 12월 20일



이후 오토는 바이에른 고문들을 해임하고 절대 군주로서 권력을 행사하며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7] 1843년 9월 3일, 무혈 쿠데타로 절대군주제가 종식되고 헌법 제정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오토는 1837년 12월 20일부터 1841년 7월 6일까지, 그리고 1841년 8월 22일부터 1843년 9월 15일까지 총리직을 겸임했다.[7]

순서총리 이름재임 기간비고
6오톤 1세
Ὄθων, Βασιλεὺς τῆς Ἑλλάδοςel
Óthon, Vasiléfs tis Elládos영어
85px1837년 12월 20일
- 1841년 7월 6일
국왕 친정
8오톤 1세
Ὄθων, Βασιλεὺς τῆς Ἑλλάδοςel
Óthon, Vasiléfs tis Elládos영어
85px1841년 8월 22일
- 1843년 9월 15일
(율리우스력: 9월 3일)
무혈 쿠데타에 의해,
절대군주제가 종언.
헌법 제정을 수락하고,
헌법 국민회의를 소집.


4. 3. 입헌 군주정 (1843-1910)

1843년 9월 3일 혁명으로 오토 왕의 절대 군주 통치가 종식되었다.[8] 오토는 헌법을 부여받았고, 안드레아스 메탁사스가 권력을 잡으면서 공식적으로 "총리" 직을 역임한 최초의 그리스인이 되었다.[8]

총리직 설립 후에도, 약한 정당 구조와 군주의 의회 의원 선택 자유로 인해 왕실은 상당한 권력을 유지했다.[7] 1862년 오토가 폐위되고 그리스의 조르조스 1세가 새 군주로 선택되었다. 이후 정당 구조는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루스의 민족주의당(우파)과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의 신당(좌파) 등 이념 정당으로 발전했다. 트리쿠피스는 1874년 "데딜로메니 원칙"()을 국왕이 수용하도록 했다.[8]

테오도로스 델리기안니스가 이끄는 민족주의당은 트리쿠피스가 옹호한 모든 것에 반대했다. 이 양당 체제는 1910년까지 존재했으며, 1895년 트리쿠피스 사망과 1905년 델리기안니스 암살로 보수 및 민족주의 진영에서 당이 분열되었다. 게오르기오스 테오토키스는 1895년 트리쿠피스 사망 후 신당을 이어받았다.

순서총리 이름재임 기간비고
초대스피리돈 트리쿠피스
스피리돈 트리쿠피스/Σπυρίδων Τρικούπηςel
스피리돈 트리쿠피스/Spyridon Trikoupis영어
85px1833년 2월 6일
- 1833년 4월 15일
제1차 정권
1833년 4월 15일
- 1833년 10월 24일
제2차 정권
2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Αλέξανδρος Μαυροκορδάτοςel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Alexandros Mavrokordatos영어
85px1833년 10월 24일
- 1834년 6월 12일
제1차 정권
3이오아니스 코레티스
이오아니스 코레티스/Ιωάννης Κωλέττηςel
이오아니스 코레티스/Ioannis Kolettis영어
85px1834년 6월 12일
- 1835년 6월 1일
제1차 정권
4루트비히 폰 아르만스베르크
루트비히 폰 아르만스베르크/Κόμης Ιωσήφ Λουδοβίκος Άρμανσμπεργκel
조제프 루트비히 폰 아르만스베르크/Josef Ludwig von Armansperg영어
85px1835년 6월 1일
- 1837년 2월 14일
5이그나츠 폰 루트하르트
이그나츠 폰 루트하르트/Κόμης Ιωσήφ Λουδοβίκος Άρμανσμπεργκel
조제프 루트비히 폰 아르만스베르크/Josef Ludwig von Armansperg영어
85px1837년 2월 14일
- 1837년 12월 20일
6오톤 1세
오톤/Ὄθων, Βασιλεὺς τῆς Ἑλλάδοςel
오톤/Óthon, Vasiléfs tis Elládos영어
85px1837년 12월 20일
- 1841년 7월 6일
국왕 친정
7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Αλέξανδρος Μαυροκορδάτοςel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Alexandros Mavrokordatos영어
85px1841년 7월 6일
- 1841년 8월 22일
제2차 정권
8오톤 1세
오톤/Ὄθων, Βασιλεὺς τῆς Ἑλλάδοςel
오톤/Óthon, Vasiléfs tis Elládos영어
85px1841년 8월 22일
- 1843년 9월 15일
(율리우스력: 9월 3일)
무혈 쿠데타에 의해,
절대군주제가 종언.
헌법 제정을 수락하고,
헌법 국민회의를 소집.
9안드레아스 메탁사스
안드레아스 메탁사스/Ανδρέας Μεταξάςel
Andreas Metaxas
85px1843년 9월 15일
- 1844년 3월 11일
무혈 쿠데타에 따라
취임. 헌법 제정에 따라,
입헌군주제로 이행.
10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Κωνσταντίνος Κανάρηςel
Constantine Kanaris
85px1844년 3월 11일
- 1844년 4월 11일
제1차 정권
11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Αλέξανδρος Μαυροκορδάτοςel
Alexandros Mavrokordatos
85px1844년 4월 11일
- 1844년 8월 18일
제3차 정권
12이오아니스 코레티스
이오아니스 코레티스/Ιωάννης Κωλέττηςel
Ioannis Kolettis
85px1844년 8월 18일
- 1847년 9월 17일
제2차 정권
재임 중 사망
13키츠스 자벨라스
키츠스 자벨라스/Κίτσος Τζαβέλαςel
Kitsos Tzavelas
85px1847년 9월 17일
- 1848년 3월 19일
14게오르기오스 쿤투리오티스
게오르기오스 쿤투리오티스/Γεώργιος Κουντουριώτηςel
Georgios Kountouriotis
85px1848년 3월 19일
- 1848년 10월 27일
15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Κωνσταντίνος Κανάρηςel
Constantine Kanaris
85px1848년 10월 27일
- 1849년 12월 24일
제2차 정권
16안토니오스 크리에지스
안토니오스 크리에지스/Αντώνιος Κριεζήςel
Antonios Kriezis
85px1849년 12월 24일
- 1854년 5월 28일
17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Κωνσταντίνος Κανάρηςel
Constantine Kanaris
85px1854년 5월 28일
- 1854년 7월 29일
제3차 정권
18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Αλέξανδρος Μαυροκορδάτοςel
Alexandros Mavrokordatos
85px1854년 7월 29일
- 1855년 10월 11일
제4차 정권
19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Δημήτριος Βούλγαρηςel
Dimitrios Voulgaris
85px1855년 10월 11일
- 1857년 11월 25일
제1차 정권
20아타나시오스 미아울리스
아타나시오스 미아울리스/Αθανάσιος Μιαούληςel
Athanasios Miaoulis
85px1857년 11월 25일
- 1862년 6월 7일
21게나이오스 콜로코트로니스
게나이오스 콜로코트로니스/Γενναίος Κολοκοτρώνηςel
Gennaios Kolokotronis
85px1862년 6월 7일
- 1862년 10월 23일
쿠데타에 의해
국왕 망명
22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Δημήτριος Βούλγαρηςel
Dimitrios Voulgaris
85px1862년 10월 23일
- 1863년 2월 21일
제2차 정권
23아리스티디스 모라이티니스
아리스티디스 모라이티니스/Αριστείδης Μωραϊτίνηςel
Aristidis Moraitinis
85px1863년 2월 21일
- 1863년 2월 24일
24지노비오스 발비스
지노비오스 발비스/Ζηνόβιος Βάλβηςel
Zinovios Valvis
85px1863년 2월 24일
- 1863년 4월 9일
25디오미디스 키리아쿠
디오미디스 키리아쿠/Διομήδης Κυριακόςel
Diomidis Kyriakos
85px1863년 4월 9일
- 1863년 5월 10일
26베니젤로스 루포스
베니젤로스 루포스/Μπενιζέλος Ρούφοςel
Benizelos Rouphos
85px1863년 5월 10일
- 1863년 10월 30일



{| class="wikitable"

! 순서

! 이름!! 생몰년도!! 재임 기간!! 비고

|-

|27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Δημήτριος Βούλγαρης)||1802년-1878년||1863년 11월 6일-1864년 3월 17일||

|-

|28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Κωνσταντίνος Κανάρης)||1790년-1877년||1864년 3월 17일-1864년 4월 28일||

|-

|29

|지노비오스 발비스(Ζηνόβιος Βάλβας)||1800년-1886년||1864년 4월 28일-1864년 8월 7일||

|-

|30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Κωνσταντίνος Κανάρης)||1790년-1877년||1864년 8월 7일-1865년 2월 9일||

|-

|31

|베니젤로스 루포스(Βενιζέλος Ρούφος)||1795년-1868년||1865년 2월 9일-1865년 3월 14일||

|-

|32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65년 3월 14일-1865년 11월 1일||

|-

|33

|에파미논다스 델리게오르기스(Επαμεινώνδας Δεληγεώργης)||1829년-1889년||1865년 11월 1일-1865년 11월 15일||

|-

|34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Δημήτριος Βούλγαρης)||1802년-1878년||1865년 11월 15일-1865년 11월 18일||

|-

|35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65년 11월 18일-1865년 11월 25일||

|-

|36

|에파미논다스 델리게오르기스(Επαμεινώνδας Δεληγεώργης)||1829년-1889년||1865년 11월 25일-1865년 12월 11일||

|-

|37

|베니젤로스 루포스(Βενιζέλος Ρούφος)||1795년-1868년||1865년 12월 11일-1866년 6월 21일||

|-

|38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Δημήτριος Βούλγαρης)||1802년-1878년||1866년 6월 21일-1866년 12월 30일||

|-

|39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66년 12월 30일-1868년 1월 1일||

|-

|40

|아리스티디스 모라이티니스(Αριστείδης Μωραϊτίνης)||1806년-1875년||1868년 1월 1일-1868년 2월 6일||

|-

|41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Δημήτριος Βούλγαρης)||1802년-1878년||1868년 2월 6일-1869년 2월 6일||

|-

|42

|트라시불로스 자이미스(Θρασύβουλος Ζαΐμης)||1829년-1880년||1869년 2월 6일-1870년 7월 22일||

|-

|43

|에파미논다스 델리게오르기스(Επαμεινώνδας Δεληγεώργης)||1829년-1889년||1870년 7월 22일-1870년 12월 15일||

|-

|44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70년 12월 15일-1871년 11월 9일||

|-

|45

|트라시불로스 자이미스(Θρασύβουλος Ζαΐμης)||1829년-1880년||1871년 11월 9일-1872년 1월 6일||

|-

|46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Δημήτριος Βούλγαρης)||1802년-1878년||1872년 1월 6일-1872년 7월 20일||

|-

|47

|에파미논다스 델리게오르기스(Επαμεινώνδας Δεληγεώργης)||1829년-1889년||1872년 7월 20일-1874년 2월 21일||

|-

|48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Δημήτριος Βούλγαρης)||1802년-1878년||1874년 2월 21일-1875년 5월 8일||

|-

|49

|하리라오스 트리쿠피스(Χαρίλαος Τρικούπης)||1832년-1896년||1875년 5월 8일-1875년 10월 27일||

|-

|50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75년 10월 27일-1876년 12월 8일||

|-

|51

|에파미논다스 델리게오르기스(Επαμεινώνδας Δεληγεώργης)||1829년-1889년||1876년 12월 8일-1876년 12월 13일||

|-

|52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76년 12월 13일-1877년 3월 10일||

|-

|53

|에파미논다스 델리게오르기스(Επαμεινώνδας Δεληγεώργης)||1829년-1889년||1877년 3월 10일-1877년 6월 1일||

|-

|54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77년 6월 1일-1877년 6월 7일||

|-

|55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Κωνσταντίνος Κανάρης)||1790년-1877년||1877년 6월 7일-1877년 9월 14일||

|-

|56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77년 9월 14일-1878년 11월 2일||

|-

|57

|하리라오스 트리쿠피스(Χαρίλαος Τρικούπης)||1832년-1896년||1878년 11월 2일-1878년 11월 7일||

|-

|58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78년 11월 7일-1880년 3월 22일||

|-

|59

|하리라오스 트리쿠피스(Χαρίλαος Τρικούπης)||1832년-1896년||1880년 3월 22일-1880년 10월 25일||

|-

|60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Αλέξανδρος Κουμουνδούρος)||1817년-1883년||1880년 10월 25일-1882년 3월 15일||

|-

|61

|하리라오스 트리쿠피스(Χαρίλαος Τρικούπης)||1832년-1896년||1882년 3월 15일-1885년 5월 1일||

|-

|62

|테오도로스 딜리안니스(Θεόδωρος Δεληγιάννης)||1820년-1905년||1885년 5월 1일-1886년 5월 9일||

|-

|63

|디미트리오스 발바키스(Δημήτριος Βαλάβας)||1814년-1886년||1886년 5월 9일-1886년 5월 21일||

|-

|64

|하리라오스 트리쿠피스(Χαρίλαος Τρικούπης)||1832년-1896년||1886년 5월 21일-1890년 11월 5일||

|-

|65

|테오도로스 딜리안니스(Θεόδωρος Δεληγιάννης)||1820년-1905년||1890년 11월 5일-1892년 3월 1일||

|-

|66

|콘스탄티노스 콘스탄토풀로스(Κωνσταντίνος Κωνσταντόπουλος)||1832년-1910년||1892년 3월 1일-1892년 6월 22일||

|-

|67

|하리라오스 트리쿠피스(Χαρίλαος Τρικούπης)||1832년-1896년||1892년 6월 22일-1893년 5월 15일||

|-

|68

|소티리오스 소티로풀로스(Σωτήριος Σωτηρόπουλος)||1831년-1898년||1893년 5월 15일-1893년 11월 11일||

|-

|69

|하리라오스 트리쿠피스(Χαρίλαος Τρικούπης)||1832년-1896년||1893년 11월 11일-1895년 1월 24일||

|-

|70

|니콜라오스 딜리안니스(Νικόλαος Δεληγιάννης)||1845년-1910년||1895년 1월 24일-1895년 6월 11일||

|-

|71

|테오도로스 딜리안니스(Θεόδωρος Δεληγιάννης)||1820년-1905년||1895년 6월 11일-1897년 4월 30일||

|-

|72

|디미트리오스 라리스(Δημήτριος Ράλλης)||1844년-1921년||1897년 4월 30일-1897년 10월 3일||

|-

|73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Αλέξανδρος Ζαΐμης)||1855년-1936년||1897년 10월 3일-1899년 4월 14일||

|-

|74

|게오르기오스 테오토키스(Γεώργιος Θεοτόκης)||1844년-1916년||1899년 4월 14일-1901년 11월 25일||

|-

|75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Αλέξανδρος Ζαΐμης)||1855년-1936년||1901년 11월 25일-1902년 12월 6일||

|-

|76

|테오도로스 딜리안니스(Θεόδωρος Δεληγιάννης)||1820년-1905년||1902년 12월 6일-1903년 6월 27일||

|-

|77

|게오르기오스 테오토키스(Γεώργιος Θεοτόκης)||1844년-1916년||1903년 6월 27일-1903년 7월 11일||

|-

|78

|디미트리오스 라리스(Δημήτριος Ράλλης)||1844년-1921년||1903년 7월 11일-1903년 12월 19일||

|-

|79

|게오르기오스 테오토키스(Γεώργιος Θεοτόκης)||1844년-1916년||1903년 12월 19일-1904년 12월 29일||

|-

|80

|테오도로스 딜리안니스(Θεόδωρος Δεληγιάννης)||1820년-1905년||1904년 12월 29일-1905년 6월 13일||

|-

|81

|디미트리오스 라리스(Δημήτριος Ράλλης)||1844년-1921년||1905년 6월 22일-1905년

4. 4. 격변, 봉기, 전쟁 (1910-1946)

1910년, 군 장교들이 구디 선언을 발표하면서 민간 정부가 붕괴되었다. 이 사건으로 크레타 출신 정치인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가 그리스에 등장하게 되었다. 그의 추종자들은 그리스 자유당에 모였는데, 베니젤로스의 지배적인 위치에도 불구하고, 진보적이고 자유주의적이며 공화주의를 지지하는 정치적 의제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는 점에서 현대적 의미의 최초의 진정한 정당이었다.

자유당은 결국 디미트리오스 구나리스가 이끌었던 보수적이고 왕당파적인 그리스 인민당의 반대에 직면하게 되었다. 두 정당, 그리고 군주제와 공화제 지지자들 간의 대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그리스 정치 지형을 지배했다.

1910년 스테파노스 드라구미스가 총리직을 사임한 이후, 1910년 10월 18일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Ελευθέριος Βενιζέλος)가 총리로 취임하였다.

1915년 3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총리가 사임하고, 디미트리오스 구날리스(Δημήτριος Γούναρης)가 1915년 3월 10일 총리로 취임하였다. 이후, 8월 23일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가 다시 총리직을 맡았다.

1916년에는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등 여러 총리들이 짧은 기간 동안 재임하였으며, 1916년 9월 19일부터 1917년 6월 27일까지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는 북부와 크레타를 통치하였다. 같은 기간 스피리돈 람프로스와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는 남부를 통치했다.

1917년 6월 27일,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는 그리스 전국을 통치하게 되었고, 1920년 11월 18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였다.

1924년 3월 12일,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오(Αλέξανδρος Παπαναστασίου)가 무소속으로 총리직에 취임하여 1924년 7월 24일까지 재임했다. 이후 테미스토클리스 소풀리스(Θεμιστοκλής Σοφούλης)가 자유당 소속으로 1924년 7월 24일부터 1924년 10월 7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 1925년에는 안드레아스 미할라코풀로스가 자유당 소속으로, 테오도로스 팡갈로스가 무소속 군인 신분으로 총리직을 역임했다. 1926년에는 아타나시오스 에프탁시아스와 게오르기오스 콘딜리스가 무소속으로 총리직을 맡았다.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는 1926년부터 1928년까지 무소속으로 세 차례 총리직을 역임했다.

1928년부터 1932년까지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가 자유당 소속으로 여러 차례 총리직을 수행했고, 1932년에는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오가 무소속으로, 파나기스 찰다리스가 인민당 소속으로 총리직을 맡았다. 1933년에는 알렉산드로스 오토나이오스가 무소속 군인 신분으로 짧게 총리직을 수행했고, 이후 파나기스 찰다리스가 다시 인민당 소속으로 1935년까지 총리직을 역임했다.

4. 5.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1944)

게오르기오스 촐라코글루(Γεώργιος Τσολάκογλου)는 1941년 4월 29일부터 1942년 12월 2일까지 그리스의 총리를 역임한 무소속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 그는 1886년에 태어나 1948년에 사망했다. 콘스탄티노스 로고세토풀로스(Κωνσταντίνος Λογοθετόπουλος)는 1942년 12월 2일부터 1943년 4월 7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한 무소속 정치인으로, 1878년 출생하여 1951년에 사망했다. 이오아니스 랄리스(Ιωάννης Ράλλης)는 인민당 소속으로 1943년 4월 7일부터 1944년 10월 12일까지 총리를 역임했으며, 1878년에 태어나 1946년에 사망했다.

한편, 그리스 공산당(ΚΚΕ)의 에우리피데스 바키르치스(Ευριπίδης Μπακιρτζής)는 1944년 3월 10일부터 1944년 4월 18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 그는 1895년에 태어나 1947년에 사망했다. 무소속의 알렉산드로스 스볼로스(Αλέξανδρος Σβώλος)는 1944년 4월 18일부터 1944년 9월 2일까지 총리직을 맡았으며, 1892년에 태어나 1952년에 사망했다.

4. 6. 그리스 내전 (1946-1949)

그리스 공산당 주도로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벌어진 그리스 내전 기간 동안 그리스에는 총 3명의 총리가 재임했다. 1947년 12월 24일부터 1949년 2월 7일까지는 마르코스 바피아디스가 총리직을 수행했다. 그는 1906년에 태어나 1992년에 사망했다. 1949년 2월 7일부터 1949년 4월 3일까지는 니콜라오스 자하리아디스가 총리직을 맡았다. 그는 1903년에 태어나 1973년에 사망했다. 1949년 4월 3일부터 1950년 10월까지는 디미트리오스 파르차리디스가 총리직을 수행했으며, 그는 1905년에 태어나 1980년에 사망했다.

4. 7. 왕정 복고 (1946-1967)

1946년 총선거 이후, 콘스탄티노스 차르달리스가 총리로 취임하여 1947년 1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디미트리오스 막시모스가 1947년 1월 25일부터 8월 29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였고, 다시 콘스탄티노스 차르달리스가 1947년 8월 29일부터 11월 7일까지 총리직을 맡았다.

세미스토클리스 소프리스는 1947년 11월 7일부터 1949년 6월 24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했으며, 알렉산드로스 디오미디스가 1949년 6월 30일부터 1950년 1월 6일까지 총리직을 이어받았다. 이오아니스 테오토키스는 1950년 1월 6일부터 3월 23일까지 총리로 재임했다.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는 1950년 3월 23일부터 4월 15일까지, 그리고 1950년 8월 21일부터 1951년 11월 1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였다.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는 1950년 4월 15일부터 8월 21일까지, 그리고 1951년 11월 1일부터 1952년 10월 11일까지 총리직을 맡았다. 디미트리오스 키우소프로스는 1952년 10월 11일부터 11월 19일까지 총리로 재임했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는 1952년 11월 19일부터 1955년 10월 4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였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는 1955년 10월 6일부터 1958년 3월 5일까지, 1958년 5월 17일부터 1961년 9월 20일까지, 그리고 1961년 11월 4일부터 1963년 6월 17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하였다. 콘스탄티노스 게오르가코프로스는 1958년 3월 5일부터 5월 17일까지 총리로 재임했다.

콘스탄티노스 도바스는 1961년 9월 20일부터 11월 4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였다. 파나기오티스 피피넬리스는 1963년 6월 17일부터 9월 29일까지, 스티리아노스 마브로미할리스는 1963년 9월 29일부터 11월 8일까지 총리로 재임했다.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는 1963년 11월 8일부터 12월 30일까지, 그리고 1964년 2월 18일부터 1965년 7월 15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하였다. 이오아니스 파라스케보프로스는 1963년 12월 30일부터 1964년 2월 18일까지, 그리고 1966년 12월 22일부터 1967년 4월 3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였다.

게오르기오스 아타나시아디스-노바스는 1965년 7월 15일부터 8월 20일까지, 일리아스 치리모코스는 1965년 8월 20일부터 9월 17일까지, 스테파노스 스테파노프로스는 1965년 9월 17일부터 1966년 12월 22일까지 총리직을 맡았다. 파나기오티스 카넬로프로스는 1967년 4월 3일부터 4월 21일까지 총리로 재임했다.

4. 8. 군사 정권 (1967-1974)

1967년 4월 21일 쿠데타 이후, 정권을 장악한 군부는 전 검찰총장 출신 민간인 콘스탄티노스 콜리아스를 총리로 임명했다. 1967년 12월 13일, 군사 쿠데타를 주도하여 실권을 장악한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 대령이 스스로 총리에 취임했다. 그는 1972년 3월 21일부터 섭정을 겸임했고, 1973년 6월 1일 공화제로의 이행을 선언하며 대통령에 취임했다.

1973년 10월 8일, 형식적인 민정 이양을 가장하기 위해 파파도풀로스는 민간인 스피리돈 마르케지니스를 총리로 임명했으나, 실권은 여전히 파파도풀로스가 장악했다. 1973년 11월 25일, 디미트리스 이오니아데스의 쿠데타로 파파도풀로스가 실각한 후, 이오니아데스에 의해 민간인 아다만티오스 안드루초풀로스가 총리로 지명되었다.

4. 9. 제3공화정 (1974-현재)

1974년 그리스 군사 정권 붕괴 이후 현재까지의 그리스 총리 목록이다.

총리 성명소속 정당내각취임일퇴임일
166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el, Konstantinos Karamanlis)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신민주주의당(ΝΔ, ND)제5차1974년 7월 24일1974년 11월 21일
제6차1974년 11월 21일1977년 11월 28일
제7차1977년 11월 28일1980년 5월 10일
167게오르기오스 랄리스 (el, Georgios Rallis)
85px
신민주주의당(ΝΔ, ND)제1차1980년 5월 10일1981년 10월 21일
168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el, Andreas Papandreou)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범그리스 사회주의운동(ΠΑΣΟΚ, PASOK)제1차1981년 10월 21일1985년 6월 5일
제2차1985년 6월 5일1989년 7월 2일
169자니스 자네타키스 (el, Tzannis Tzannetakis)신민주주의당(ΝΔ, ND)제1차1989년 7월 2일1989년 10월 12일
170요아니스 그리바스 (el, Yiannis Grivas)무소속제1차1989년 10월 12일1989년 11월 23일
171크세노폰 졸로타스 (el, Xenophon Zolotas)무소속제1차1989년 11월 23일1990년 4월 11일
172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 (el, Konstantinos Mitsotakis)
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
신민주주의당(ΝΔ, ND)제1차1990년 4월 11일1993년 10월 13일
173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el, Andreas Papandreou)범그리스 사회주의운동(ΠΑΣΟΚ, PASOK)제3차1993년 10월 13일1996년 1월 22일
174코스타스 시미티스 (el, Kostas Simitis)
코스타스 시미티스
범그리스 사회주의운동(ΠΑΣΟΚ, PASOK)제1차1996년 1월 22일1996년 9월 25일
제2차1996년 9월 25일2000년 4월 13일
제3차2000년 4월 13일2004년 3월 10일
175코스타스 카라만리스 (el, Kostas Karamanlis)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신민주주의당(ΝΔ, ND)제1차2004년 3월 10일2007년 9월 17일
제2차2007년 9월 17일2009년 10월 6일
176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el, Georgios Andreas Papandreou)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범그리스 사회주의운동(ΠΑΣΟΚ, PASOK)제1차2009년 10월 6일2011년 11월 11일
177루카스 파파데모스 (el, Lucas Demetrios Papademos)
루카스 파파데모스
무소속제1차2011년 11월 11일2012년 5월 16일
-파나기오티스 피크라메노스 (el, Panagiotis Pikrammenos)무소속 (임시정부)임시 정부2012년 5월 16일2012년 6월 20일
178안토니스 사마라스 (el, Antonis Samaras)
안토니스 사마라스
신민주주의당(ΝΔ, ND)제1차2012년 6월 20일2015년 1월 26일
179알렉시스 치프라스 (el, Alexis Tsipras)
85px
급진좌파연합제1차2015년 1월 26일2015년 8월 27일
-바실리키 타누 (el, Vassiliki Thanou-Christophilou)
바실리키 타누
무소속 (임시정부)임시 정부2015년 8월 27일2015년 9월 21일
180알렉시스 치프라스 (el, Alexis Tsipras)급진좌파연합제2차2015년 9월 21일2019년 7월 8일
181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el, Kyriakos Mitsotakis)
85px
신민주주의당(ΝΔ, ND)제1차2019년 7월 8일2023년 5월 25일
-요아니스 사르마스 (el, Ioannis Sarmas)무소속 (임시정부)임시 정부2023년 5월 25일2023년 6월 26일
182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el, Kyriakos Mitsotakis)신민주주의당(ΝΔ, ND)제2차2023년 6월 26일현직


참조

[1] 웹사이트 ΣΥΓΧΡΟΝΟ ΕΓΧΕΙΡΙΔΙΟ ΕΘΙΜΟΤΥΠΙΑΣ - PDF http://docplayer.gr/[...] 2018-03-29
[2] 웹사이트 IG.com Pay Check https://www.ig.com/u[...] IG
[3] 웹사이트 The Office https://www.primemin[...]
[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Greece http://www.hri.org/d[...]
[5] 웹사이트 Πρωθυπουργός της Ελλάδας - Πολιτική ορκωμοσία του πρωθυπουργο http://www.primemini[...]
[6]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Press 2001
[7] 서적 Politics and Statecraft in the Kingdom of Gree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8
[8] 서적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9]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10]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11]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12] 문서 제2차 세계 대전 때 추축국이 그리스를 점령할 당시(1941~1944) 점령군에 협조한 그리스국의 수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